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

(8)
러닝, 걷기, 등산할때 유용한 운동 앱 비교 낮 시간동안 자주 걷기, 등산 등의 운동을 하게 된다. 전에는 러닝도 자주 했는데 요즘은...ㅡㅡ; 운동할때 요즘은 어떤 어플을 쓰나 하고 봤더니 추천하는게 3가지다. Nike Run Club, RunDay, 트랭글이다. 1. Nike Run Club Nike Run Club은 이름처럼 러닝에 특화되어있다. 영어로 나올줄 알았는데, 메뉴 자체는 한글로 나온다. 그런데 세부 메뉴로 가면 영어도 많이 보인다. 기본적으로 GPS를 사용하여 러닝 경로와 거리를 기록할 수 있다. 러닝 효과를 높여줄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과 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친구들과의 도전과 함께 목표를 설정하고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꽤 심플하게 생겼고, 러닝하다가 잠깐 멈추면 알아서 측정을 멈춰주기도 한다. 그리고 ..
라면과 건강에 대해 라면을 좋아한다. 그래서 점심에 라면을 끓여먹었다ㅋㅋㅋ. 한국 사람이라면 라면을 싫어하는 사람이 많을 것 같진 않은데, 나도 그중 하나다. 짜고 매운 라면이라 건강을 생각하니 양심의 가책을 느껴가며 먹었다. 오랫만에 먹는거니 괜찮을거야....라고 위안을 해보지만, 지난 주에도 먹었다. 그런데 라면이 뭐라고 이렇게 양심의 가책까지 느껴가며 먹어야 하는걸까? 건강에 얼마나 안좋길래?? 1. 라면의 역사 한국의 라면은 일본의 라멘에서, 일본의 라멘은 중국의 라미엔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의 즉석 라면은 1958년 산시쇼쿠산(현재 닛신식품)의 회장 안도 모모후쿠가 생산한 치킨 라면이 최초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1963년 삼양라면이 일본의 라멘 제조기술을 도입해 삼양라면(치킨탕면)을 선보이면서 라면..
믹스 커피와 건강, 하루에 몇 잔 마셔도 될까? 커피믹스? 믹스커피? 뭐 아무렇게나 부른다. 요즘은 가끔 스틱커피라고도 하는 것 같다. 한 때는 참 많이도 먹었다. 하루에 다섯잔 정도 먹고나면 정말 피곤함이 느껴지곤 했다. 요즘은 스타벅스를 필두로 다양한 커피 브랜드의 영향, 그리고 골목마다 자리한 수많은 소형 커피브랜드 등으로 아메리카노, 라떼 등 다양한 커피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집에서도 원두를 갈아서 아메리카노를 만들어 먹기도 하고, 귀찮으면 커피 가루에 설탕 조금 넣고 블랙으로 마시기도 한다. 하지만 여전히 스틱형 믹스커피를 1잔정도 매일 마신다. 왜? 달고 맛있으니까. 간편하니까. 그런데 한잔 이상은 뭔가 불안해서 못먹겠다. 이거 먹으면 몸에 안좋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꼭 하루에 한잔만 먹는다. 2잔은 안될까? 1. 설탕과 크림 함량 확..
봄의 향을 담은 나물 냉이 이맘때 쯤이면 들판에 앉아서 허리를 숙이고 뭔가를 캐고 계신 분들이 보인다. 쑥이나 냉이를 캐고 계신다. 내 눈에는 잘 안보이지만 아는 사람들에겐 나름의 기쁨인 것 같다. 오늘은 냉이에 대해 알아볼까 한다. 냉이란? 냉이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봄철 대표적인 식물로 특히 향이 좋아 인기가 많다. 산과 들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나는 냉이를 쉽게 볼 수 있다. 해발고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햇빛이 잘 드는 들판이나 산기슭, 도로변 등에서 자라며, 비교적 시원하고 습한 환경을 선호한다. 냉이는 봄철에만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사계절 내내 볼 수 있다. 특히, 겨울에 싹트고 난 2월 말부터 4월까지의 냉이가 가장 맛이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 영..
우유는 좋은 식품인가 나쁜 식품인가? 어릴적부터 우유는 완전식품이라고 배워왔다. 의심한 적도 없다. 그러던 어느날 와이프가 우유는 먹으면 안된다고 한다. 그러면서 여러 자료들을 보여주었다. 병원에서는 내가 칼슘이 부족하니 우유를 많이 마시라고 한다. 어떻게 해야할까? 의사말을 들어야하나 와이프말을 들어야하나? 우유에 대한 기존 인식: 칼슘의 보고인 완전식품 우유는 칼슘, 비타민 D, 단백질 등 여러 중요한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성장기 어린이나 뼈 건강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좋다고 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우유가 '최고의 완전식품'으로 불리며 매일 규칙적으로 마셔야 한다고 한다. 우유에 대한 반대의견 1. 골다공증 유발 우유를 많이 마신 사람이 적게 마신사람보다 더 높은 대퇴골 경부 골절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산성인 우유가 ..
피자는 건강식품인가? 건강하지 않은 식품인가? 피자, 햄버거 등 우리가 편견과 비슷하게 건강에 좋지 않다고 의심하고 있는 식품들을 좀 연구해볼까 한다. 개인적으로 햄버거는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피자는 그래도 좀 괜찮지 않나? 하고 생각하곤 했다. 햄버거보단 낫지 않을까? 하지만 인터넷에서는 딱히 어느게 더 나쁘고 어느게 더 낫다라고 구분하고 있지 않는 것 같다. 피자는 몸에 해로울까? 피자가 건강하지 못한 식품으로 인식되는 이유 피자는 다양한 야채와 함께 여러가지 토핑이 함께 들어가있어 다양한 영양소의 섭취가 가능하다. 그러나 바로 이 토핑들, 그리고 기본 재료인 도우의 밀가루로 인해 건강하지 못한 식품으로 분류된다. ① 고열량: 대부분의 피자는 고열량이다. 크러스트(도우), 치즈, 그리고 특별한 소스에는 상당량의 칼로리가 포함되어 있다. 일반 ..
소고기, 돼지고기, 오리고기와 건강. 소고기 지방은 해로운가? 어제 저녁 같은동 친구네 집 아이들이 놀러와서 저녁을 같이 먹었다. 집에있던 오리고기를 구워주고, 돼지고기도 구워줬다. 소고기는 뺐다. 비싸기도 하고, 내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남들은 맛있다는데, 난 왤케 소고기가 별로일까? 딱히 건강을 생각해서 그런건 아니다. 하지만 이런 말을 자주 들었다. '소고기는 사줘도 먹지말고, 돼지고기는 사주면 먹고, 오리고기는 내가 사서라도 먹어라.' 왜 이런 말이 나온 것일까? 소고기는 얼마나 안좋은 것이고 돼지고기는 먹으란건가 먹지 말라는건가? 소고기의 지방은 43도, 돼지고기의 지방은 38도, 오리고기의 지방은 14도에서 녹는다고 한다. 즉 사람의 체온을 생각하면 오리고기의 지방은 인체에서 액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고기는 굳어서 혈관을 막는다는..
밀가루가 몸에 안좋은 이유, 밀가루의 진실 밀가루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아하는 짜장면, 라면, 피자, 빵, 케익, 햄버거 등 맛있는 음식 또는 대부분의 외식거리의 주 재료이다. 그런데 밀가루 음식은 몸에 않좋다고들 한다. 그럼 유럽사람들은? 미국사람들이야 비만율 높은거 한번만 가봐도 알 것 같다. 하지만 유럽사람들은 주식이 쌀이란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즉 밀가루가 주식이다. 그럼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에서 밀에 대한 체질이 다른 것일까? 무엇이 진실일까? 1. 글루텐 밀을 물과 섞어 반죽하면 밀의 주요 단백질인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 서로 결합하여 글루텐이라는 단백질을 생성한다. 이 글루텐이 바로 쫄깃한 식감을 냄으로서 우리가 맛잇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글루텐의 양에 따라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으로 나뉜다. 하지만 식감을 좋게하는 이 글..

반응형